65,000
Jun 25, 2023
Scientific Reports 12권, 기사 번호: 11747(2022) 이 기사 인용
5856 액세스
6 인용
65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숫돌과 숫돌 도구는 후기 인류 진화의 중요한 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식물성 식품, 새로운 도구(예: 뼈 끝 및 가장자리 숫돌 축) 및 숫돌 안료를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마제드베베(Madjedbebe) 현장의 발굴 작업을 통해 지난 65,000년(ka)에 걸친 호주(세계 최대는 아닐지라도)에서 가장 크고 가장 긴 홍적세 연삭석 기록이 복구되었습니다. 현미경 및 화학적 분석에 따르면 마드제드베베 연삭석 집합체는 종자 분쇄 및 집약적 식물 사용에 대한 가장 초기의 알려진 증거, 가장 먼저 알려진 가장자리 분쇄 돌 손도끼(도끼)의 생산 및 사용, 황토색 안료의 최초 집중적 사용을 보여줍니다. 사훌(호주와 뉴기니의 홍적세 대륙)에서. 마제드베베 연삭석 집합체는 아프리카에서 사훌(Sahul)로 흩어지는 호모 사피엔스의 표현형 가소성을 보여주는 경제적, 기술적, 상징적 혁신을 보여줍니다.
연삭석 및 기타 지상 도구는 최소 7억 8천만년 전 레반트, 아프리카 및 유럽에서 처음 등장한 인간 기술의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1,2,3,4,5,6,7,8,9,10 ,11,12,13.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영양가 있는 딱딱하고 딱딱하며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을 수 있고 쉽게 소화할 수 있습니다. 요리와 함께 숫돌은 질긴 음식을 유아와 노인이 더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만드는 데 특히 중요했습니다. 숫돌은 잔디 씨앗, 단단한 씨앗 및 분쇄된 동물이 홀로세 후기 원주민 식단의 필수 구성 요소를 형성했던 호주의 건조 및 반건조 지역을 개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이론화되었습니다. 18,19,20,21,22,23,24,25,26,27. 연마석은 또한 호주와 뉴기니의 여러 지역에서 안료 준비와 연마석 손도끼의 생산 및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28,29,30,31. 호주 현장 보고서에는 후기 홀로세를 제외하고는 많은 수의 연삭석(무정형 조각 및 형식적인 연삭석 포함)이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 마모 및 잔류물 분석을 거친 인공물은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종자 분쇄 도구에 대한 검토에는 14개 현장에서 총 468개의 분쇄석이 나열되어 있으며, 현장당 1~89개의 범위가 있습니다33,34. 대부분의 숫돌과 '종자 분쇄기'로 분류된 73개의 공식 유물 모두 홀로세 수준에서 나온 것입니다34.
카카두(Kakadu) 지역에 위치한 또 다른 유적지인 Nauwalabila에는 Madjedbebe와 비슷한 연대(53.4 ± 5.4 ka 및 60.3 ± 6.7 ka35)의 연삭석이 있을 수 있지만 보고된 집합은 작습니다(n = 4336,37). 돌은 분석되지 않았으며 연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호주 북부 Mirarr Country의 암석 보호소인 Madjedbebe(그림 1a)39에서 최근 발굴된 결과로 호주에서 숫돌 사용의 역사가 오래되었습니다. 여기에서는 2020-1년까지 현미경 연구에 사용할 수 있었던 거시적 사용 흔적이 있는 104개의 연삭석의 기능에 대해 보고합니다. 최근에 대량의 퇴적물과 3mm 체 퇴적물에서 나온 작은 조각의 수를 통해 우리는 인간이 거주했던 전체 기간에 걸쳐 해당 지역에서 총 563개의 연삭석(조각 포함)을 추정합니다(표 1). 68.7~50.4년 사이의 초기 점유 단계(2단계)에서 나온 29개의 인공물을 포함하여 104개의 연삭석(전체 연삭석 집합의 18.5%)에 대해 기능 분석(현미경 사용 마모, 잔류물 및 생화학적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ka, 그리고 불확실한(아마도 홀로세 후기) 맥락에서 나온 두 개의 인공물입니다. 이러한 현미경 및 화학적 분석을 통해 사훌(Sahul) 최초의 인간 식민지 주민의 식단, 기술 및 상징에 대한 새롭고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제드베베의 위치, 현장 배치 및 숫돌의 분포. (a) 현장 위치. 해수면은 MIS 3과 동일한 -80m bsl로 표시됩니다. (b) 북쪽에서 촬영한 Madjedbebe 및 Djuwamba 육괴 사진. 파란색 방수포는 암석 보호소 벽에 대한 발굴 위치를 나타냅니다(사진 제공: Tiina Manne). (c) 1973년(B3), 1989년(B4-5), 2012년(B1-E4) 및 2015년(B5-C6) 발굴 지역과 뒷벽의 위치를 보여주는 현장의 격자 레이아웃; (d) 연삭석 및 이국적인 원료의 깊이별 빈도 분포. 집합은 뒤에서 앞으로의 층위학의 5° 경사를 설명하기 위해 앞면(5~6행)과 뒷면(1~3행)으로 나누어집니다. (e) 단계별로 색상으로 구분된 Madjedbebe의 3D 플롯 연삭석 위치. 회색 점은 암석, 황토 및 기타 인공물을 나타냅니다. 1열은 암석 보호소 뒷벽에 가장 가깝고 5열과 6열은 물받이 바깥쪽에 있습니다. 4행과 5행은 B4와 B5의 일부가 1989년에 발굴되었으며 유물이 현장에 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적은 수의 유물이 표시됩니다.
65.4 ka) represents accumulation of a sand sheet during marine isotope stage (MIS) 5 that contains a low density of stone artefacts near the top of the Phase. Phase 2 (68.7–50.4 ka, MIS 4 and extending into MIS 3) is associated with a cool dry climate with sea-level at ~ 50 m below modern sea-level (bmsl) when Madjedbebe was ~ 300 km from the nearest shoreline45. A large and dense stone artefact assemblage (n = < 10,000), rich in exotic raw materials occurs in Phase 2, including stone points, thinning flakes and centripetal core technology (Fig. 1d). Exotic raw materials include chert, silcrete, dolerite, hornfels and tuff, none of which are known to occur closer than 25 km from the site, which sits in an outlier of Proterozoic Kombolgie sandstone from the Arnhem Land Plateau. Phase 3 (54.0–26.0 ka, MIS 3 and extending into MIS 2) falls within a period marked by a variable and wetter climate with higher sea levels and a stronger monsoon from c.50 ka46,47. Flaked stone artefacts made from exotic raw materials are uncommon in this phase. Phase 4 (28.9–12.2 ka, MIS 2) corresponds to dry Last Glacial Maximum (LGM) conditions with sea levels dropping to − 120 m bmsl48. During Phase 4, a pronounced increase in stone artefact discard is documented, along with increased importation of exotic raw materials and a peak in bipolar technology. Phases 5–7 are Holocene units. Phase 5 (10.5–7.1 ka, MIS 1) coincides with a period of rapid sea level rise and the establishment of a wetter climate corresponding to the Holocene climatic optimum and is associated with low artefact density and low abundance of exotic flaked stone. The chronology for Phases 6 and 7 are poorly constrained by the OSL Bayesian age model for the site. Age ranges are instead based on the range of calibrated 14C and OSL ages for each of the Phases. Phase 6 (9.1–5.8 ka) sees a continuation of wetter condit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estuarine conditions close to the site, reflected in the presence of a large shell midden dominated by mangrove dwelling species. Artefact density again peaks as bifacially flaked stone points and bone point technology appear at this time and thinning flakes associated with invasive retouching reappear. The most recent phase of occupation, Phase 7 (4.7–0.0 ka), corresponds to drier and more variable climate with a period of intensified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climatic conditions and more variable and decreased precipitation. Bifacial point technology is most common at this time. From approximately 3.3 ka, the Alligators Rivers lowlands transition from estuarine to freshwater vegetation communities, culmin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Magela Creek floodplain freshwater wetlands within 1 km of the site during the last 1 ka39,49./p>